세종은 자기가 세종이라는 걸 알까?

우리에게 익숙한 태정태세문단세. . . 

 조선시대 왕을 외우는 한 방법인데요. 

혹시 세종에게 “세종대왕님”하고 불렀을 때

“엥????나???? 이도인데” 할거라는 걸 아시나요?

 

정조에게도 “정조임금님”하고 부르면 

“나???? 나 이산인데. . .”이렇게 할겁니다.

 

 

 

이름이 아니라 묘호일뿐

우리가 왕이름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들은 

알고보면 이름이 아니라 호칭인데요.

한자어로 묘호라고 합니다.




 묘호는 왕이 죽은 후 신주를 종묘에 모실 때 

그 묘실(廟室)을 어떻게 부를지 

조정에서 의논해서 정했죠. 

따라서 연산군과 광해군처럼 

폐위되어 종묘에 들어가지 못한 왕들은 묘호가 없답니다.

 


이렇게 묘호는 왕의 사후에 

그의 업적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왕이 살아있거나 현직 왕일 때는 

조나 종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살아 있는 왕에게 

전하, 또는 주상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왕들은 미래에 자신의 묘호가 

조가 될지 종이 될지 전혀 알 수가 없었죠.

 

 

 

 

종과 조의 유래

종과 조의 구분 즉 묘호는 

중국 에서 시작되었는데요.

원조인 중국은 

나라를 세운 태조에게만 

조라는 묘호를 쓰고 

나머지 왕은 모두 종으로 부른답니다. 



비슷하게

신라 왕 가운데 묘호를 쓴 이는 

태종 무열왕 밖에 없고, 

고려 때는 태조 왕건만 조를 묘호로 썼지요.

종과 조의 차이를 엄밀히 따지자면 

조를 더 높게 쳐준답니다.


 

 

종과 조의 차이

종과 조는 처음에는 뜻이 분명했었지만 

조선시대에 그 뜻이 퇴색됐는데요.




한국학 중앙연구원이 편찬한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원래 조 ( 祖 ) 는 한 왕조를 창업하거나 

그에 준하는 탁월한 공이 있다는 의미로 

나라를 세운 왕에게 붙여져야 했지만 

후에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업적이 있는 

왕들에게도 붙였지요.




종 ( 宗 ) 은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에게 

붙여지는 것이었는데요.

후에 덕으로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케 한 왕에게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조의 배신

조선의 27명의 왕들 중 

무려 6명에게조 가 붙었는데요.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죽은 뒤에 왕으로서 대접을 받지 못한 

연산군과 광해군을 제외한 

나머지 왕들은 모두 종을 썼습니다.



 

이는 나라를 세운 왕에게 붙는 

조의 개념의 배신과 같은데요.

영조와 정조 그리고 순조는 

특히 조와 종의 차이를 가장 헷갈리게 만드는 왕입니다. 

당시 이렇다 할 전쟁도 없었고 

국가적 큰 위기도 없었는데도 조를 써서 

종과 조의 차이를 무의미하게 만들었기 때문이죠. 




물론 그분들 잘못은 아닙니다. 

원래는 그들도영종, 정종, 순종으로 묘호가 정해졌다. 

후에 묘호가 바꼈답니다.

 이유는 

선조는 임진왜란을 막은 업적이 있다고 봤고, 

영조는 탕평책으로 당쟁을 막은 업적이,

(사후 116년만에. 고종 26년1889년 영조로 바뀜) 

순조는 천주교세를 막아 

유교 문화를 지켜낸 업적이 있다고 보았죠.

(사후23년만.1857년 순조로 바뀜)

정조는 고종이 황제에 오르면서 

조상을 높이는 차원에서 종을 조로 바꿨습니다.

 



이외에도

세조는 김종서, 황보인 때문에 망할 뻔한 

나라를 구한 업적이 있다고 봤고, 

인조는 형제를 죽이고 어머니를 가둔 

광해군을 내쫒고 나라를 새롭게 만든 업적이 있다고 봤던 것 같습니다.




사실 호칭에 대한 과도한 열정이 

원래 조와 종의 의미를 퇴색시킨거죠.



고종을 황제라 하고

박정희를 각하라 부른 것과 

뭔가 비슷한 느낌이군요.

 


아뭏든 종과 조의 차이는 

이렇게 원래의 의미와 다르게 변했습니다.

오늘 저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남기고 가 주세요.

 

 

+ Recent posts